[덴티움] 중국의 임플란트 시장 영향
1. 임플란트 시장 동향
1.1. VBP 제도란 - 중앙집중식 구매
VBP는 중국 국공립 병원에 납품하는 품목을 중앙집중식으로 조달하는 정부주도 의약품 대량구매 제도이다. 2000년 처음 시범 도입 된 후, 정부주도로 지방에서 성급도시, 전지역으로 변화하며 확산되었다. 이후 2016년 환자 중심으로 가치에 기반한 헬스케어에 집중하고자 'Health China 2030'을 추진하면서 국가 의약품 조달 개혁을 시행했으며, 2018년부터 베이징, 상하이, 텐진, 충칭 등 주요 직할시와 7개 성에서 31개의 의약품에 대해 도입되었다.
'22년 9월 중국 국가의료보장국(NHSA)이 임프란트 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의료 서비스 및 소모품 가격 특별 관리 실시에 관한 통지'를 발표하고, 정식으로 공공 및 민영 의료기관의 임플란트 가격 감독 및 지도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중국 국무원은 '약품 및 고부가가치 의료 소모품의 VBP 개혁 정책'에 따라 심장 스탠드, 인공관절 등 고부가가치 의료 소모품의 중앙 집중식 구매를 추진하고 있으며, 임플란트도 그 중 한 종류이다. 임플란트 가격에 대한 규범화로 임플란트 식립, 크라운 식립 등 치과의료 서비스 항목을 통합하여 임플란트 전 과정 가격을 조정 공제해, 공공 의료기관의 임플란트 비용을 낮추고 민영 의료기관의 가격을 감독하여 보급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중국 의료보장국의 '치과 임플란트 진료비 및 소모품 가격 특례 시행에 관한 고시'에 따르면 임플란트 과금방식 표준화, 임플란트 의료 서비스 가격 항목 통폐합, 임플란트 전 과정에 대한 가격 규제, 임플란트 비용 절감의 4개 항목 아래 12개의 조항으로 임플란트 관련 의료서비스 관리 감독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중국 내 임프란트 수요는 2013년부터 크게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2020년 판매량이 잠시 주춤했다가 2021년 다시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한국의 임플란트 수출량도 2021년부터 크게 반등하며 중국으로의 수출량 증가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2. VBP 입찰
1.2.1. 입찰 방식
2018년 11월부터 11개 도시를 대상으로 공동구매 입찰제도가 시범적으로 운영된 이후, 지역은 전국으로 확대되었으며 구매 기관도 공립 의료기관 -> 공립 의료기관, 일부 군 의료기관 및 사회 운영 의료기관 -> 모든 의료기관(소매 약국도 참여 가능)으로 확대되었다.
기본적인 입찰 방식은 가격 경쟁이며, 2020년 2월 시행된 전국 의약품 공동구매 2차와 당해년 8월 공동구매 3차는 최저입찰가의 1.8배가 넘으면 탈락하는 가격 제한 규정이 존재했다. 2차와 3차 모두 입찰 성공한 의약픔 가격이 평균 53% 인하되었으며, 가장 큰 인하율은 각각 93%와 95%를 기록했다. 주로 중국 현지 제너릭 의약사가 높은 가격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3차 공동구매에서는 자이프렉사, 비아그라, 엘리퀴스, 브릴린타, 에리우스, 아리미덱스, 젤로다, 페미라, 졸루푸트 등 글로벌 제약사들이 현지 제네릭 제약사에 밀려 입찰에 실패했다.
'22년 12월 4급 티타늄 인플란트와 티타늄 합금 임플란트의 임플란트 VBP 입찰 공고가 발표되었다. 입찰 기업이 제시한 입찰 가격을 낮은 순서대로 정렬하여 Class를 분류하여 기존에 조사된 의료기관 수요에 맞게 배정하는 방식인데, 입찰 가격 순으로 1~3등 기업이 수요 물량의 100%, 4등 이상 기업이 수요 물량의 90%를 배정받을 수 있으며, 입찰 가격 상위 40%인 Class B 기업들이 수요 물량의 75%를 배정받을 수 있다.
'23년 1월 11일 발표된 입찰 결과에 따르면 오스템임플란트, 덴티움의 실 제 입찰 가격은 각각 임플란트 1세트당 771위안, 770위안으로, `22년 연말에 나왔던 입찰 상한가 가이드라인 793위안보다 -2.8% 낮은 수치였다. 입찰 개수는 오스템임플란트, 덴티움 각각 491,090세트, 403,687세트로, 이는 `22년 연말에 발표된 구매 예정량의 90%에 해당한다.(1차 년도 잠재 수요 약 250만세트의 90%인 구매예정물량 225만세트)
입찰 결과)
전체 400만세트 중 259만개 낙찰
오스템 60.23%, 덴티움 50.19%
2. 수요
2.1. VBP시행에 따른 영향
VBP가 임플란트에 적용되는 '23년 이후 1) VBP가 도입된 지역에서 전체 의료기관의 40% 이상은 의무적으로 제도에 참여해야 하며, 2) 전체 시술건은 전년도 시술건의 50% 이상이어야 한다. 3) 해당 규제를 따르지 않을 시에는 사유서를 제출해야 하며, VBP 참여를 원하지 않는 사립병원과, 작년 대비 50% 이상의 시술을 하지 못한 병원도 사유서를 제출해야 한다. 이를 어기거나 불성실한 모습이 지속될 경우 중앙정부는 각종 조사 및 대중 노출 등 규제를 가할 수 있으므로 사립병원의 VBP 참여도 역시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VBP 적용 시 임플란트 시술 가격을 시범적으로 실시한 닝부시에서 프로젝트 진행 당시 총 103개의 의료기관이 참여했는데, 이는 도시 전체에서 임플란트가 가능한 치과의 75%에 해당하는 숫자로 참여율이 매우 높았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VBP 제도의 조건 1)과 2) 중 한 가지만 충족시켜도 된다는 점 때문에 사립 병원이 VBP 관련 규제에 참가만 하고 식립은 하지 않을 수 있다는 허점이 존재한다.
한국 임플란트 제조사 입장에서는 VBP에 참여하지 않는 사립병원이 많을 수록 가격 하락에 방어할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중국내 임플란트 시술량 전망치)
(추정) 국공립 병원은 VBP에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하고, 사립 병원은 참여가 권고되는 형식이었다. 이와 `20년 국공립/사립 병원 비 중을 고려하여 `23년 국공립 병원향 임플란트 약 100만 개, VBP에 참여한 사립병원향 임플란트 약 159만 개, VBP에 참여하지 않은 사립 병원향 임플란트 약 316만 개로 추정한다. 그러므로 중국 사립 치과 병원향 임플란트의 VBP 참 여도는 33.5%(=159만 개/475만 개) 정도로 짐작해볼 수 있다. (키움증권)
- VBP 도입 전 전망치보다는 사립 병원의 참여율은 아직 낮은 수준인 것으로 추정됨
- 향후 '26년 VBP 입찰에서 사립병원의 참여율 얼마나 증가할 것인지가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1) VBP 는 결국 중국 내 임플란트 기업을 성장시키기 위한 것
사립병원의 참여율 앞으로 계속 증가하도록 중앙정부의 압박이 있을 것
그렇다면 단순계산으로 증가하는 Q* VBP 낙찰 가격으로 중국 매출 추정 가능
-> Q증가가 P하락으로 인한 매출 하락을 상쇄할 수 있는가?
*프리미엄 치과용 임플란트의 선두 제조업체인 Straumann Group은 VBP 도입 이후 단위 판매량이 약 25%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임플란트당 ASP가 40%~45%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 우리 예상보다 가격 하락 효과가 더 부정적일 수도 있음
2) 사립병원
-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한 치과의사가 증가할 수록 보급율과 시술건수는 증가할 것 -> 관련 변수도 함께 고려해야
2.2. 그 외: 노인인구 증가, 임플란트 보급률 증가 등
2.3. 중국 임플란트 잠재 시장 규모
2.4. 중국 외 국가
글로벌 치과용 임플란트 시장 규모는 ‘23년 68.6억 달러에서 ’27년 98.5억 달러로 연평균 9.4%의 성장이 전망된다.
The Business Research Company의 자료에 따르면 인구 고령화와 가처분 소득 증가하고 구강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과 동시에 소득 증가, 구강질환 증가로 임플란트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CAD/CAM 과 치과 스캐너, 3D 프린팅 기술 발전은 글로벌 임플란트 시장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된다.
한국의 임플란트 수출동향도 '20년 팬데믹으로 대면치료가 감소하며 임플란트 수출이 주춤했으나, '21년 일상회복에 따라 임플란트 수요가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1) 러시아
최근 3년간 임플란트 수입액이 증가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다. 전쟁 중에도 수출 물량은 오히려 증가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러시아에 임플란트를 비롯한 의료기기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수출 전 Roszdravnadzor(러 연방 보건서비스관리감독청)에 제품을 등록해야 하며, 여기에서 발행하는 등록증을 취득해야 해야 한다. 덴티움은 2018년 러시아 법인을 설립하여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전쟁이 지속되는 동안 운송에서의 어려움을 겪어 매출이 일부 둔화되었다. 이 때문에 지난해 3분기 러시아 매출을 포함한 유럽 매출이 QoQ 110억원(-72%)이 감소한 42억원을 기록했으나, 4분기 러시아 물량의 이연효과로 전년 대비 89% 오른 231억원을 기록하며 큰폭으로 회복되었다.
중량 | 금액 | |||||
총계 | 378.1 | 345,736 | ||||
2020 | 러시아 연방 | 902129 | 기타 | 53.8 | 51,226 | |
2021 | 러시아 연방 | 902129 | 기타 | 83.7 | 73,441 | |
2022 | 러시아 연방 | 902129 | 기타 | 89.4 | 79,417 | |
2023 | 러시아 연방 | 902129 | 기타 | 115.5 | 106,232 | |
2024 | 러시아 연방 | 902129 | 기타 | 35.7 | 35,420 |
- 러시아 회복 모멘텀 이미 지났는지, 아직 남아있는지 검토 필요
2) 네덜란드
네덜란드 임플란트 시장은 ’22년 1.3억 달러에서 ’30년 ’2.1억 달러로 연평균 6.2%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인구 고령화로 임플란트 수요가 증가 할 것으로 기대된다. ’22년 한국은 제3위 수입국이며, 비중은 11.7% 정도다. 네덜란드의 임플란트 수입은 한국과 미국을 제외하면 유럽 주변국으로부터의 수입이 높은 편이다.
한-EU FTA 협정에 따라 관세율 0%가 적용되고 있어 수출 물량 증가세를 보인다는 점은 긍정적이며, 덴티움은 아직 네덜란드 법인 없음
중량 | 금액 | |||||
총계 | 109.0 | 137,054 | ||||
2020 | 네덜란드 | 902129 | 기타 | 23.6 | 24,779 | |
2021 | 네덜란드 | 902129 | 기타 | 19.1 | 22,466 | |
2022 | 네덜란드 | 902129 | 기타 | 20.9 | 27,143 | |
2023 | 네덜란드 | 902129 | 기타 | 25.5 | 32,553 | |
2024 | 네덜란드 | 902129 | 기타 | 19.8 | 30,114 |
법인 보유 또는 허가 국가) 캐나다, 베트남, 러시아, 일본, 말레이시아, 미국, 유럽, 싱가포르, 대만, 인도네시아, 터키, 이란, 우크라이나, 사우디아라비아, 미얀마, 키르키즈스탄 등
1. 가격인하의 가능성이 존재하는지 확인 - 호석
2. Q: VBP계약 - 공공의료기관 수요 + 민영의료기관 수요 - 예진
3. 덴티움과 오스템임플란트의 차이 - 오스템이 왜 중국 내 점유율 더 높은가? - 유진
4. 스트라다움과 비교해서 점유율이 앞으로 더 늘 수 있을 것이라는 근거 - 유진
5. 중국 외) 튀르키예, 중동, 유럽, 아시아 - 해당 국가 내에서 침투율, 점유율 증가할 수 있는 요인 있는지 검토 - 예진
6. 프리미엄 브랜드의 수요가 중저가 수요를 위협할 수 있나?